엘리어트 파동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엘리어트 파동 엘리어트 파동 기본이론 물리 이론에 보면 "모든 움직임에는 작용과 반작용이 있다"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금융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주가의 오르내림에도 반드시 그 반대의 움직임이 뒤따른다 즉 "오르면 반드시 내리고 또 내리면 반드시 오른다". 주가의 움직임은 주된 추세라는 한쪽 방향과 조정이나 횡보라는 그 반대 방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된 추세는 주가가 움직이는 주된 방향이고 조정은 추세에 반대되는 움직임이다. 엘리어트의 용어로는 충격 파동(impulsive waves)과 조정 파동(corrective waves)으로 불린다. 충격 파동은 5개의 명확한 주가 움직임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3개는 추세에 부응하는 방향이고(1,3,5), 두개는 추세와 반대 방향이다(2,4). 추세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 이전 1 다음